[전기기능사 실기] FLS 접지 연결방법 (FLS 1개, 2개) 실제결선 사진
전기기능사 실기를 준비하시는 분들이 FLS의 접지에서 많이 어려움을 격으시는데요
접지와 센서를 E1 E2 E3를 소켓의 7,8,1을 통해 빼면 된다라고 강의는 들으셨는데 실제 결선은 어렵죠?
아직 머릿속에서 맴맴 돌고 있는건데요
그래서 결선작업만 실제 작업을 하다가 헤체도중 찍어올립니다.
우선 첫번째 이미지는 FLS가 1개인경우 접지를 가져와서 접지를 연결한후 FLS의 1번소켓에서 1.5sq노란선으로 하단자의 접지와 물리는 케이스입니다.
쉽게 생각하셔서 접지와 1번에서 나온선을 하단자에 물려주시고
외부배관을 통해 아웃하는 단자까지는 노란선으로 나가면 됩니다.
아래의 예에서는 하단자 5,6,7에서 나가는 노란색 선을 통해 배관을 거쳐 4단자 TB까지 가게 되겠죠?
아래의 두개사진은 FLS를 2개 사용하는 경우를 만들었는데요~
큰사진은 상단자에서 접지선을 2개를 가져갔기때문에 전체샷을 찍었고 그중 아래의 FLS부위를 확대한 사진이 아래의 사진입니다.
FLS가 2개인경우 접지단자를 체크해 두신후 접지끼리 점프점프를 해가면서 쭉 이어가는게 접지의 묘미인데요~
그 이후에 FLS의 7,8,1번 소켓에서 나오는 선을 작업하시면서 1번단자에서 나온 노란선을 접지에 같이 물리시면 됩니다.
마지막 확대사진에서 2가지 케이스를 보여드릴게요
보시면 이경우에는 FLS1과 FLS2가 교차되어 작업된 경우라서 단자의 위치가 헷갈리실까봐 서로 연결한 단자끼리 녹색과 적색 박스로 표시해뒀습니다.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
좌우양쪽으로 2가닦의 접지선을 가져와서 한쪽은 FLS 1과 접지하고 한쪽은 FLS 2와 접지하는 방식입니다.
즉, 접지는 서로 서로 물려나가는 방법만 잘 활용하면 되며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아니지만 접지선을 FLS의 1번 단자에 직접 물려주셔도 무관합니다.
간혹 감독관이 그렇게 작업을 지시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전기 기사(산업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류 계전기(보호 계전기)의 종류 - 전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0) | 2021.02.01 |
---|---|
전력용 반도체 소자 SCR 등 문제풀이용 정리 - 전기 기사, 기능사, 산업기사 (0) | 2021.02.01 |
110V 3선식 누전차단기 - 이제는 없어서 못보는 차단기 (0) | 2020.11.05 |
전기기능사 실기 필수 아이템 - 나사구분 박스 (0) | 2020.11.03 |
전기기능사 - 트롤리선 문제 (트롤리선이 뭐길래?) (2) | 202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