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robots.txt 로봇설정 확인하기 - 검색최적화 크롤링/색인 생성
티스토리 robots.txt 로봇설정 확인하기
제목이 조금 진부하죠~
애드고시 2차 탈락이후 짜증이 엄청나서 점점 구글에 목메여 파고드네요
파고들다보니 크롤링과 색인생성에 대해 점점더 파고들었는데요
크롤링과 색인은 검색엔진과 블로그 사이에서 엄청나게 중요한 작업입니다.
제가 지금 이글을 쓴다면 이글을 완료하는 순간부터
구글과 네이버는 글의 내용과 제목 그리고 태그를 기준으로
싸~~~악 훓습니다.
그리고는 내용에대해서 검색엔진에 노출시킬 내용과 단어를 선택해서
누군가가 검색시 검색이 될 수 있는 작업을 시행해줍니다.
그 작업이
크롤링을 한후 색인을 작업하는 겁니다.
이 두가지가 되어 있지 않다면
아무리 양질의 글을 쓰더라도 글은 노출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간혹 내가 글을 엄청 유용하고 양질의 컨텐츠로 작성해서 올렸는데
검색이 엄청나게 부진하고
심지어는 1 또는 2에서 더이상 늘어날 생각이 없는 글들이 있죠~
이런경우까지라면 네이버와 구글에서 글의 URL이 작업이 되었는지를 검색해보고
안되어 있다면 수동으로 작업요청을 해야합니다.
그것에 대한 글은 다른글에서 방법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오늘 말씀드릴 내용은 크롤링과 색인을 하기위해서는
robots.txt 라는 파일이 티스토리에서 잘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robots.txt는 내 티스토리의 허용도를 정리해준 기록입니다.
우선적으로 제가알기로는 그리고 확인해본바로는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혹시나 안되어 있는경우에는 파일을 업로드 해주시고
적절하게 수정이 되어있는지도 확인해 보시면
검색엔진에서 내글을 좀더 빠르게 가져가서 작업을 시작하겠죠?
기분일지도 모르지만 저는 이작업을 수행하기 전에는
글을 작성후 2~3일이후부터 글에 검색유입이 있었는데
작업이후에는 글을 작성하고 당일 부터 검색유입이 발생했습니다.
robots.txt확인하기
우선 내블로그 기본주소에
/robots.txt
를 붙여서 주소창에 입력하고 접속하시면
위와 같은 상태로 노출되면 됩니다.
해당 파일에 노출된 내용을 보시면 관리자 페이지 및 굳이 일반인이 보지 않아도 되는
페이지들을 검색을 허용하지 않음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보시면
owner, manage같은 부분들이 그예이죠~
robots.txt에서 특정페이지를 제외작업화 한겁니다.
티스토리의 경우에는 robots.txt를 수정할 필요도 크게 만들 필요도 없습니다.
그저 무리수 있는 이상한게 나도 모르게 추가되어 있나만 비교하면 됩니다.
만약 없다면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파일을 만들어 올려보시면 됩니다.
모든검색에 대한 robots 수정 메타테그 추가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이 내용은 정확하진 않지만 심증은 갑니다.ㅎㅎㅎ
우선 티스토리의 로봇에 대한 수정을 하기 위해서는 메타테그를 이용할 수 있답니다.
내가 작성한 모든글을 모두 공개하니 다가져가라 뭐 이런개념이라네요
이외에도 키워드를 메타테그로 넣는다든지 예제는 많이 봤지만 방법에대해
심증정도는 테스트후 올려보겠습니다.
우선은 모든검색 메타테그를 넣는 방법입니다.
플러그인에가셔서 메타테그를 수정하는 플러그인을 선택합니다.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등록시 메타테그 등록을 하러 들어와 보셨을 겁니다.
여기에 하나를 더 추가해 봅니다.
이름은 중요치 않습니다.
본인만 알아보시면 되구요
메타테그 내용란에
<meta name="robots" content="ALL" />
이렇게 넣고 저장 적용을 하시면 끝입니다.
원래 메타테그는 <head>와 </head>사이에 넣는건데
티스토리는 플러그인을 통해 쉽게 목록화해주고 있어서
HTML을 건드리지 않으려고 그냥 사용중입니다.
하루만에 좀 뛰어 올르긴했습니다.
아무 이유도 없었고
그동안 왜 검색유입이 없지?
했던 글들에 검색유입이 발생했습니다.
한번 도전삼아 해보시고
혹시라도 더 뛰어난 검색량을 보여준다 싶으시면 댓글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