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운영시 알아야할 사이트맵과 RSS원리
티스토리 운영시 알아야할 사이트맵과 RSS원리
티스토리와 네이버 블로그의 차이를 아시나요?
아시는 분들이 보시기에는 좀 말도안되게 긴 내용이니 안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아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써봅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글만 잘 작성하면
네이버검색에서 알아서 자동으로 쭉쭉 검색이 됩니다.
아주 편리하죠~
하지만 수익을 내고자 하시는 분들이 티스토리로 갈아타시면서
뭔가 왜 검색유입이 다움만 되는가에 대해 고민을 하십니다.
제가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나더 만들면서
글은 작성하고 있는데 검색엔진에 등록을 하지않고
검색유입을 체크했습니다.
유입이 없습니다~ 0
티스토리는 네이버와 구글에 검색을 위해 등록을 해주셔야만 검색유입이 발생합니다.
등록절차는 다른글에서 언급중이니 생략하겠습니다.
그렇다면 검색유입을 위해 제출해야하는 것이 있는데요...
sitemap과 RSS 입니다.
RSS는 기본적으로 티스토리에서 자동으로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주소를 등록만 해주시면 됩니다.
sitemap은 직접 만들어서 등록 제출을 해야합니다.
만드는 방법은 다른글에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게 뭔지 필요한 경우를 아셔야 나중에도 다시 제출을 합니다.
[티스토리관리] - RSS를 이해하자 - 티스토리 RSS설정 원리
[티스토리관리]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 사이트맵 제출 ceo 최적화 완성하기/사이트맵만들기
[티스토리관리] - 구글 /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 등록시 티스토리 메타테그 넣는 방법
sitemap과 RSS 구조
sitemap을 처음 듣는 분들은
요즘은 사용하지 않지만 예전 홈페이지들은
sitemap이라는 페이지를 만들어서 거기에 키워드와 같이
홈페이지 전체에 관련된 단어들을 넣어 메뉴별로 링크가된~~~
음~ 책의 색인과 같은것을 만들어 운영되었습니다.
그것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어찌보면 비슷하지만 그렇게 사용하는 것은 아니구요
티스토리의 카테고리나 스킨등 구조를 만들겁니다.
전체적인 구조가 확립이 된이후에는
글만 작성하시면 되는데요
이런 구조적인 부분을 작성해서 검색엔진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도를 만들어서 주시는게
sitemap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사이트의 카테고리 및 구조가 변경된다면
sitemap을 다시 제출하시는게 도움이 되겠죠~
그렇다면 RSS는 무었일까요?
내가 글을 작성해서 티스토리에 올리면
그글을 수집해갈수 있도록 간단한 글의 정보만을 모아서
페이지를 만들어 줍니다.
그러면 구글엔진이나 네이버에서
글의 간략한 정보를 바탕으로
크롤링과 색인 작업을 해서
검색하는 사람들에게 글이 검색되도록 돕고 있습니다.
그래서 블로그를 작성하실때는 이미지가 많은것보다는 글에 포함된 단어들이 중요합니다.
만약 대출에 관련된 단어나 내용이 없는데
태그는 대출가능 이런내용이 있다면 제외가 되겠죠~
사진은 실질적으로 글을 읽는 사람이 이해하는데 좋은것이고
글의 단어 하나하나와 태그는
글을 분석하는 검색엔진이 읽고 이해하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구글의 애드센스의 경우 1000자 이상의 글자수를
필요로 하여 심사를 진행한다고도 알려져 있죠~
글이 없다면 애드센스가 분석해서 좋은광고를 연결하기 힘들겠죠~
이런 부분에서 보시듯이 작성하는 블로그의 글내용과 목적에 따라
네이버 블로그를 해야할 지
티스토리를 해야할 지
기준을 가지실 수 있습니다.
어떻게 기준을 정할까?
우선순위가
유입설정에 대한 관리수준
마케팅 홍보 / 애드센스운영 중 목표가 무엇인지
사진위주인지 글위주인지
여러가지를 반영하시면 좋습니다.
참고로 네이버 블로그는 다움과 네이버 zum이정도에서 반영됩니다.
구글에서 검색되는걸 바라지 마세요~
단, 네이버블로그는 네이버에서 아주 쉽게 검색됩니다.
지금 쓴글이 몇시간후 검색유입이 바로바로 들어옵니다.
사진의 경우도 용량을 크게 줄이지 않고 올려도
읽는 사람에게 로딩의 부담이 조금 적습니다.
그러나
티스토리는 용량을 생각해서 사진을 올리셔야합니다.
사진의 크기에 맞는 사이즈 확장자 등이
보는 사람의 로딩속도에 따라서 페이지 이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구글의 검색유입이 필요한 블로거라면
티스토리에 만드셔야 구글에 검색을 등록하고 유입을 바라봅니다.
내용에 따라 외국인들이 많이 보는 내용일 수 있으니까요~
반면 저는 티스토리와 네이버 블로그를 함께 이용합니다.
주요 작성하는 글은 티스토리에 작성을 한후
하나의 내용인데 글이 길어져서 여러개의 글로 나눠작성하게 됩니다.
그래서 검색인 잘되도록
네이버에 하나의 글을 작성하고
각각의 글을 링크로 내용을 넣습니다.
이런방법이 네이버에서 빠른 검색으로 이어지고
유입을 늘리며
보시는 분들도 내용중 필요한 글만 골라서 볼수도 있게 합니다.
블로그를 만드시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