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기사(산업기사) 요약

전기기능사 필기 꼭나오는 문제 - 쿨롱의 법칙

springpacktech 2020. 8. 20. 20:02
728x90
반응형

전기기능사 필기 꼭나오는 문제 - 쿨롱의 법칙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을 보는 많은분들이 전기기초이론을 대체적으로 포기하고 가는 편인데요.

포기보다는 쉬운문제는 맞고 가는건 어떤가 싶네요~

왠만해서는 항상 나오는 필수 문제인 쿨롱의 법칙에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우서 전기기초의 큰축은 전하를 기본으로하는 전기장과

자하를 기본으로하는 자기장이 있습니다.

전하량 Q[C]을 기본으로 하는 두개의 Q값을 기준으로 사이에서 발생하는 두 점전하 사이의 작용력을 구하는 문제

그리고

자하 m[wb]를 기본으로하는 두개의 m값을 기준으로 사이에서 발생하는 두 자하 사이의 작용력을 구하는 문제

공식은 거의 비슷하면서도 다른 공식으로 구할수있는 쉽게 획득가능한 파트입니다.

두개의 답을 나타내는 F[N]은 두개의 작용점을 기준으로한 사이의 작용력입니다.

즉, 쿨롱의 법칙은 두개의 작용점간의 작용력을 구하는게 목적입니다.

우선 첫번째 공식은 Q1 Q2의 두개의 자하지점간을 나타내고 필요한 F[N]값을 구하는데 필요한 9x10의9승 r제곱분의 Q1, Q2에 숫자만 넣으면 됩니다.

동일하게 문제자체에 m1,m2로 문제가 나온다면 아래의 공식을 이요하면 됩니다.

공식을 찾으시오라는 문제는 4πr제곱x r제곱 x 입실론0 또는 뮤가 분모로 있는데요.

이 공식부분은 숫자의 답을 찾는 것보다는 공식중 맞는 공식을 찾으시오에 나오는 답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래도 블로그의 경우에는 제곱이나 분수를 작성하는 것이 불가하다보니 설명드리기 어렵지만

F[N] = 1번공식 = 2번공식
이라는 기준으로 봤을때

1번공식은 공식을 찾으시오의 형식의 문제에 맞는 답이고

2번공식은 Q값이냐 m값이냐에따라서 두 값사이의 작용력F[N]의 값을 구하라고 할때 구하는 공식으로 기준삼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