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이론과 실습

[ 전기자기학 기초 ] ε(유전율) = 진공유전율 × 비유전율

springpacktech 2021. 7. 12. 19:30
728x90
반응형

[ 전기자기학 기초 ] ε(유전율) = 진공유전율 × 비유전율


전기 기능사부터 기사등등 전기관련 기술자격증에 기본으로 나오는 전기자기학 또는 전기이론 부분의 가장 기초가 되는유전율에 대해서 간단히 어떻게 바라보면 되는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대부분 전기자기학 또는 전기이론을 포기하는 경우중 한 부분이 생전처음보는 그림같은 공식과 이론들이 너무 어려워서 와닿지 않아 포기하고 마는데요...

간단한 부분을 보는 방법만 아셔도 한문제는 먹고들어갑니다.

그중 하나가 '유전율' ε(입실론) 입니다.

읽지 못해도 계산방식을 이해하면 되는건데요

ε(입실론)의 기본공식을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유전율은 위의 공식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유전율은 비유전율과 진공유전율을 곱한것입니다.

만약 공식에 'ε' 만 있다면 '진공유전율×비유전율' 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런데 햇갈리는게 얼마의 값인데? 이런 의문을 들게하는 공식입니다.

여기에서 정해진 값이 우선 있습니다. 진공유전율은 정해진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의 공식에서 보시면 블로그에는 쓰기힘든 '8.555×10의-12승'의 값이 고유값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걸 외우지 않아도 됩니다. 

계산기에 진공유전율 'ε제로'의 경우 공학계산기의 shift+7+32 를 순서대로 눌러주시면 입실론0을 넣을수 있고 계산시에 자동으로 입실론0의 값으로 계산이 됩니다.

 

그렇다면 비유전율은 어떻게 할까요?

입실론0은 아주 쉽다는걸 아셨을텐데요

비유전율은 외우는 값이 아니고 항상고정값이 아닌 물체에따라 다른 유전율값입니다.

물론 물체에따라 정해져 있는 값이 있지만?

그걸 외워서 넣게 하지 않습니다.

비유전율은 보통 ε에 'r' 또는 's'로 표시하여 나타냅니다.

블로그에는 쓰기 힘든점 양해부탁드립니다.

문제등을 푸실때는 비유전율을 계산에 넣어야 할때는 문제에 주어지니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쉽게 이해가 되셨으면 좋은 간단하지만 꼬부라진 내용을 설명드려봤는데요.

 

마지막으로...

단, 특정히 아셔야 하는 비유전율의 성질이 있어서 간단히 적어보겠습니다.

공기의 비유전율 = 1 (비유전율은 1보다 작은 값이 없다.)

비유전율이 가장 큰 물질 '산화티탄자기' = 500

유전율과 진공유전율은 [F/m] 단위를 가지고 있지만

비유전율은 단위가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