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기초 수학] P=VI , V=IR 전력 전류 저항 전압 계산 공식
전기에 관련한 공식중 가장 기본이되고 꼭 알아야 하지만 뭔가 햇갈리는 이걸 어떻게 접목하는거지?
이런생각도 드는게 전력(P), 전류(I), 전압(V), 저항(R) 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1. 우선 전력은 무었일까?
전력(P) 쉽게 전기힘(Power)겠죠?
W(와트)라는 단위를 붙입니다.
전자기기에 보면 200W, 3000W같이 사용전력이 써있습니다.
2. 전류(I)는 전기의 흐름이라고 쉽게 말해보겠습니다.
보면 전류 I는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기분이죠?
이렇게 왜우시면 전류는 'I' 이다 라고 외우기 쉽습니다.
A(암페어)라는 단위로 사용합니다.
20A 30A 20암페어 30암페어 이렇게 읽습니다.
차단기등에 보시면 30A라고 주로 적혀있습니다.
흐를수 있는 전기용량?의 단위라고 보면 쉽습니다.
3. 전압(V)은 전기를 밀고가는 압력이라고 생각해봅니다.
정확한 비교는 아니지만 그만큼 전기를 밀어주는 힘의 강약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저압의 범위에서
110V, 220V, 380V를 사용하는데 110볼트, 220볼트, 380볼트 라고 읽습니다.
4. 저항(R)은 전기의 흐름이 윤활하지 않음을 나타낸 수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저항이 높으면 그만큼 전기흐름에 장애가 있다는 증거이고 0에가까운것이 좋은 저항값입니다.
1Ω, 10Ω, 100Ω이라고 적는데 이것을 1옴, 10옴, 100옴 이라고 읽습니다.
기본적으로 이것을 간단히라도 이해를 한다면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P=VI 와 V=IR을 알고 계산하면 됩니다.
이때 기본 수학적 계산은 대입만 하면 됩니다.
그런데 V=IR에서 저항(R)과 전압(V)와 I(전류)의 비례 반비례관계를 알고 계셔야 합니다.
R과 V는 비례하고, R과 I는 반비례합니다.
위에서 이야기한것이 수학적으로 보는 것인데요.
전압이 높아질수록 저항도 높아지고, 전류가 높아질수록 저항은 작아집니다.
그냥 수학적으로 계산식으로 대입해보시면 쉽게 이해가실겁니다.
대입식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220V(전압)를 사용하는 2000W(전력)의 기기를 사용시 I(전류)를 구할수 있습니다.
P=VI에 대입해보겠습니다.
2000=220×I(전류)
I=2000/220
I(전류)는 9A가 나옵니다.
그럼 이제 V=IR에 대입해보겠습니다.
220=9×R(저항)
R=220/9
R(저항)은 24Ω으로 계산된다.
전기이론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수학개념이라고 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제가 작성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꾹 눌러주세요
제 글이 도움이 되는곳이 있다면 글의 링크를 다른 곳에 퍼가셔도 좋습니다.
단, 글 자체를 복사하는 불법 도용 및 사용은 금합니다.
'전기 이론과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스덕트 종류 | 기능사 필기에 도움이되는 정리 (0) | 2020.07.22 |
---|---|
차단기의 정격전류 A는 무슨 의미일까? (0) | 2020.07.19 |
[전기기초수학] 지수법칙 - 꼭 필요한 전기 기본 수학 (0) | 2020.07.14 |
전기이론2 - 와이결선, 브이결선, 델타결선 한눈에 전압비교 (0) | 2020.07.12 |
[전기 기초 수학] 합성저항 구하기 - 직렬 및 병렬 (0) | 2020.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