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기의 정격전류 A는 무슨 의미일까?
쉽게 이해하기 위한 글을 작성해보는데요~
전류(I) A(암페어)는 전기가 흘러갈수 있는 흐름의 폭이라고 보시면 될듯합니다.
예를들어 물리적인 기준을 들어보면 넓은 주입구로 물을 넣었을때 좀더 많은 양의 물을 넣을수 있듯이 전기도 들어갈수 있는 폭이 정해집니다.
예를들어 전선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를수 있고 이 흐를수 있는 관의 두께를 전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차단기의 전류(I) A암페어가 높을수록 더 많은양의 전류가 흐르고 사용가능한 최대 전력량도 높아지는 겁니다.
약간의 예시성으로 설명해 본것이니 조금의 오바가 있을수 있습니다.
그러니 차단기에 물려있는 전선을 타고간 전기가 사용하는 전기량이 얼마나 될지 모르지만 전선과 사용처의 전력예측량에 맞게 예측량을 사용하는것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전력사용량을 책정해서 전선도 배선을 할것이고 통과해야하는 최대 전력량에 맞는 차단기를 사용해야겠죠?
30A 220V를 사용한다면 몇 W(전력)까지 사용가능할까요?
P=VI라는 전기공식을 가져와 보겠습니다.
P(전력) = 전압(V)×전류(I)
P = 220V × 30A = 6600W
즉, 30A전류의 220V전압을 사용가능한 차단기라면 6600W까지 최대 전력량을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겁니다.
만약 30A차단기아래로 6000W이상을 사용하도록 기기를 사용중이라면 빈번히 차단기가 떨어지게 될건데요~
계산적으로 학교에서 알려준건 6600W라고 나왔는데...
기본적으로 현재 30A차단기에 사용되는 최대치 전력량은 3000W미만 수준입니다.
이점을 감안하시어 실제사용은 3000W미만 사용하셔야 안전한 차단기를 사용가능한점을 감안하시길 바랍니다.
사용배선의 두께에 따라 사용가능 전압이 다르기 때문에 그 이상의 높은 전압이 낮은 전압을 사용가능한 전선으로 통과하려한다면 좁은 통로로 많은 전기가 흘러가야 하는 결론이 되고, 이것은 전선에 과한 무리를 주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즉, 오래된 집에서 불이나는 이유중 하나라고 봐도 좋습니다.
오래된 집은 해당 집이 지어질 당시의 최대전력량을 기준으로 배선이 되었다보니 현재보다 낮은 전압/전력량을 기준으로 배선을 사용하였고 또한 노후됨도 한몫을 하겠죠?
30년이상된 집을 지을때 없던 대형냉장고/에어컨/대형TV/PC/김치냉장고등이 과부하의 원인이 되는건 오래된 배선을 사용하는 집에서는 당연한 것일겁니다.
그러나 새로지은 집들은 기본적으로 이 정도 전기설계를 기본으로 전선을 사용하고 차단기를 분배해놓았기 때문에 좀더 과부하의 원인이 없도록 해결해 주는 것입니다.
제가 작성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꾹 눌러주세요
제 글이 도움이 되는곳이 있다면 글의 링크를 다른 곳에 퍼가셔도 좋습니다.
단, 글 자체를 복사하는 불법 도용 및 사용은 금합니다.
'전기 이론과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사 - 배관 설비 기준 (PE, CD, PVC, 금속관) 한눈에 정리 (0) | 2020.07.23 |
---|---|
버스덕트 종류 | 기능사 필기에 도움이되는 정리 (0) | 2020.07.22 |
[전기 기초 수학] P=VI , V=IR 전력 전류 저항 전압 - 정리와 계산이해 (0) | 2020.07.18 |
[전기기초수학] 지수법칙 - 꼭 필요한 전기 기본 수학 (0) | 2020.07.14 |
전기이론2 - 와이결선, 브이결선, 델타결선 한눈에 전압비교 (0) | 202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