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기초단위 계산의 기초 (10의 3승부터 -3승까지) 요약정리
전기의 기초적인 기준값을 말할때 수의 단위가 항상 필요합니다.
왜냐? 작게는 아주아주 작은 단위 크게는 아주아주 큰단위까지를 써야하다보니
1,000,000 이정도의 수를 쓴다고 해도 줄여서 쓰기위해서
1,000,000 = 1M(1메가) = 10의 6승 으로 줄여서 쓸수 있고
0.1000000 = 1μ(1마이크로) = 10의 -6승 으로 줄여서 쓸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수의 단위를 모르면 계산기가 있다고 해도 무용지물입니다.
간단히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K(킬로) = 10의3승
M(메가) = 10의 6승
G(기가) = 10의 9승(너무 큰값이라 쓸일이 없음)
위의 내용에 1부터 1,000,000,000,000까지를 표현하는 단위까지를 모두 썼지만
전기에서는 보통 M까지만 사용하면 일반전기공부에서 충분히 큰 단위라 생각합니다.

소수점자리의 정리(중요)
m(밀리) = 10의 -3승
μ(마이크로) = 10의 -6승
N(나노) = 10의 -9승
P(피코) = 10의 -12승
위의 내용을 보면 0보다 작은 소수점 자리를 표현하여 아주 작은 P(P까지도 사용가능합니다.)
계산기에서 1× 10의 -6승을 눌러보시면 위에서처럼 분수로 표시될겁니다.
(물론 공학계산기 기준)
즉, 앞의 1이든 뭐든 소수점이하 자릿수가 승수가 되고
정수의 경우에서도 제일 앞자리 이하 단위를 줄일때 사용한다 이정도로 이해하시면
문제를 푸실때 좀 쉬워지는데요
예를들어 3[mF]을 예를들어보면
[F]은 정전용량C의 기본단위일뿐 숫자가 아닙니다.
3×10의 -3승[F]으로 바꿔 쓸수 있게 됩니다.
숫자표현이 어려운 블로그라 좀 표현이 힘든부분이 있습니다.
최대한 계산기에 입력하는 방식이라도 익숙해지시면 이부분은 쉽게 해결가능한 부분이기에 포기만 하지 않으면 계산문제에 접근하실수 있는 부분입니다.
'전기 기사(산업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바뀌는 전기규정(필기시험 필수) - 전압 및 전선식별 규정 (0) | 2021.02.10 |
---|---|
전기 기사 공부할때 알아야할 특수한 용어모음 (0) | 2021.02.10 |
CB(Circuit Breaker) - 특수 차단기의 종류 (전기 필기시험 요약) (0) | 2021.02.03 |
전기 필기시험 필수 어려운 단위 정리 모음 - 전기기사, 기능사, 산업기사 (0) | 2021.02.02 |
전류 계전기(보호 계전기)의 종류 - 전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0) | 2021.02.01 |